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 진주연
- |
- 2023.04.27
- |
- 1
- |
- 8
- |
- 1
아파트 단지 내 급식소와 길고양이 집으로 인한. 민원으로 해결이 안되서 도움을 요청하고자합니다.
아파트위치가 초등학교 앞에 위치하여 아아들이 길에 놀이터에 버려진 새끼 고양이를 돌봄으로써 시작이 되어 점점 늘어나는 개체 수 조절을 위해 고민끝에 시청에 문의하여 TNR을 2019년도부터 시행하였습니다.
처음 밥자리를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연2회 TNR을 시행하였고 짧지않은 시간이었기에 해당 아파트는 7~9마리(추정)의 시청 TNR된 아이들이 곳곳에 자리잡고 영역을 지키며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문제가 발생한건 지난 금요일 아파트 전체 내 집과 밥자리가 관리소장님 지시하에 철거되었습니다.
이 지시에따른 공지나 조치도 없었고 하루아침에 벌어진 일이라 당황스러웠습니다.
해당 관리실측에서는 입주민의 민원이 제기되어 철거했다고 하였으나 사전 공지는 없이 진행된 것에 화가 났지만
이성적인 판단에 안타깝지만 대화를 좋게 마무리
하였습니다.
그리고 하루 지난 토요일 급식이 없어 영역이탈을 한 고양이가 아파트정문에서 로드킬을 당하여 도로에 시체가 되어버렸고 다른 고양이들도 몸 하나 숨길 곳 없이 방황하며 방치아닌 방치로 이어져 한마리씩 안보이기
시작 하더니 아애 보이질 않습니다.
아파트 내에 시청 TNR된 아이들이 보호가 안된다면 유지및 관리가가능한걸까요? 이렇게 생명에 무책임한 TNR은 예산 낭비에 포획 살생이 아닐까요?
안동시청 TNR은 1차 민원해소로만 끝날 것이아니라 방사후의 아이들 생존권도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야할 것 입니다.
14일 민원 접수내용이었고.
26일 답변입니다.
지자체 활동가분들 ( 캣맘 캣대디 )은 이러한 나몰라라 하는 상황에 TNR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개체수 증가로 불만인 일부 시민들은 불법포획 유기 고양이 탕 등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환경과 생명존중을 이야기해야하는 시점이라 생각하고 동물단체에 이러한 문제를 알려드리고 해결방안 검토를 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동물자유연대 2023.05.02
후원자님 안녕하세요. 사회변화팀 활동가 이지은입니다. 현재 동네고양이 돌봄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부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동네고양이 급여 관련 문제는 단체 의견보다는 입주민의 의견이 제일 중시되는 상황입니다. 현재 TNR이 완료된 상황이고, 이후 영역내 동네고양이들의 개체수 조절을 위한 봉사활동이라는 점을 관리소측에 상기시키며 급여와 돌봄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해보시길 바랍니다. 단순 민원 해결로써의 접근이 아닌 TNR 이후 정기적인 급여와 함께 고양이들이 안정적으로 영역에 정착하여 지낼 수 있도록 하는 올바른 TNR 문화를 만드는 데 동물자유연대가 앞장서서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