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한국 동물운동의 길을 개척해온
동물자유연대의 발자취를 소개합니다.

구조와 보호

연혁 이미지 2024년 01
연혁 이미지 2024년 02
연혁 이미지 2024년 03
연혁 이미지 2024년 04
[온센터]

* 2024년 12월 30일기준

1. 온센터_온독

  • 보호동물 수: 총 349마리(개 348, 햄스터 1)
    • 센터 보호 186마리 / 위탁 보호 106마리 / 임시 보호 57마리
    • 시설개보수로 인하여 임시보호와 위탁보호 개체가 한시적으로 높음
  • 입양동물 수: 총 129마리(해외입양, 관외입양 포함)
  • 신규 입주 동물 수: 총 196마리

2. 온센터_온캣

  • 보호동물 수: 고양이 116마리
    • 센터 보호 104마리 / 입원 6마리 / 임시 보호 5마리
  • 입양동물 수: 40마리
  • 신규 입주 동물 수: 총 59마리(구조 후 입주 전 사망 9마리 포함)
[구조·학대 대응]

* 2024년 11월 30일기준

1. 위기동물 구조활동
총 활동: 109건 (326마리 구조)

* 학대 사건 18건 고발 / 동물 구조 69건 / 개식용 불법 현장조사 3건

  • 재난구호 대비체계 수립 및 훈련 진행
  • 개식용 종식법 제정 이후 개도살 및 개농장 관련 제보 증가에 대응

2. 위기동물 지원활동
쓰담쓰담 시민구조 위기동물 치료비 지원(지원금 1억 9백만원)

* 124건 지원(개 3마리 / 고양이 121마리)

  • 제3회 119동물구조대상 개최
  • 민간동물보호소 신고제 지원(지원금 1억원)
  • 입양 활성화 지원(지원금 5천만원)
    • 카카오 같이가치 협업 / 풀뿌리 단체 입양활동 치료비 지원

정책 및 사회변화

연혁 이미지 2024년 05
연혁 이미지 2024년 06
연혁 이미지 2024년 07
연혁 이미지 2024년 8
[반려동물]

1. 개식용 종식 불법 현장 조사

  • 초복 문화제: ‘끝나지 않은 죽음, 다시’ 개최

2. 동물영업 규제 강화 촉구

  • 생산판매업 실태조사 및 반려동물영업 제도 개선

3. 동네고양이 네트워크 구축

  • 돌봄활동가 네트워크 형성
  • 민원 대응 체계 상시 운영

4. 반려동물 복제 금지 활동

  • 여론조사, 시민 서명 및 캠페인 진행
  • 반려동물 복제 금지 관련 법안 발의

5. 입양동물의 날 행사 진행

6. 결연의 날 행사 진행

* 온독 시설 개보수로 온라인 진행

7. WDA 골든 독 어워즈 수상 (9월)

  • 한국 개식용 종식법 제정 기여로 대표 동물단체 선정
  • 상금 10만 달러 전액 기부 (개 식용 종식 활동을 함께한 13개 연대 단체)

8. 온센터 보호동물 생일파티

  • 보령번식장 동물 대상 생일파티 개최

9. 사설보호소 후원 및 봉사활동

  • 사설보호소 8곳에 9회 사료 나눔 및 봉사활동 진행
[농장동물]

1. 말 복지 체계 구축

  • 승마장 현장조사 및 입법 활동
  • 말산업 관련 콘텐츠 제작 및 배포

2. 케이지프리 전환 캠페인

  • 기업 및 공공기관 대상 케이지프리 전환 요구

3. 소싸움 폐지 활동

  • 소싸움 대회 현장 모니터링 및 이슈 대응
  • 시민참여 캠페인 진행
[전시동물]

1. 동물전시 반대 활동

  • 열악한 동물체험시설 현장조사 및 고발

2. 사육곰 구조 활동

  • 사육곰 현황조사, 농가 방문
  • 사육곰 매입 및 양주, 이주 준비
[정책 및 입법]

1. 개식용 종식 특별법 후속 입법

  • 특별법 위헌 가능성 검토 및 하위법령 제정

2. 22대 총선 대응

  • 21대 국회 동물입법 분석 및 22대 후보자 대상 정책 질의

3. 말 복지 체계 구축

  • 말 산업 조사 및 승마시설 허가제 전환

4. 산란계 사육환경 표시제 도입

  • 사육환경 표시제 검토 및 2025년 도입 요구

5. 국정감사 동물복지 우수 의원 선정

  • 동물 관련 질의 모니터링 및 우수 의원 선정

6. 이슈리포트 발행 및 기타 대응 활동

  • 동물복지와 관련된 주요 이슈리포트 발행

교육 및 연구조사

연혁 이미지 2024년 9
연혁 이미지 2024년 10
[연구 및 조사]

1. 동물학대 대응 매뉴얼 개발 및 배포

  • 활용 교육 및 동물학대 대응 어플리케이션 개발

2. 동물복지 우수지자체 선정(동물복지지수 개발)

  • 복지지수 체계 보완 및 우수 지자체 선정

3. 대체육 시장 조사 및 입법 연구

  • 대체육 기술 및 시장 현황 분석, 국내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 작성

4. 케이지프리 프로젝트

  • 평사사육 전환 가이드북 제작 및 600부 배포

5. 수평아리 도태 현황 연구

  •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보고서 발간

6. 서울시 인수공통감염병 모니터링

  • 동물체험시설 265건 시료 채취

7. 번식장 부모견 건강상태 조사

  • 사육환경 평가 및 번식장 조사 (보령 번식장 124마리)

8. 개식용 종식 보고서 작성

  • 유럽동물복지학회 발표 및 국내 성과 공유

9. 반려동물영업 가이드라인 마련

  • 공무원 및 영업자 대상 가이드라인 제작
[교육 및 학술 활동]

1. 동물아카데미 운영

  • 동물권과 동물복지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한 강좌 프로그램 진행

2. 국내 최초 동물권 및 동물복지 석사과정 개설

  • 성공회대와 협력하여 ‘동물권과 사회 연구’ 석사과정 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