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한국 동물운동의 길을 개척해온
동물자유연대의 발자취를 소개합니다.

반려동물

연혁 이미지 2011년 01
연혁 이미지 2011년 02
연혁 이미지 2011년 03

1. 인터넷 분양사기 피해 고발 및 인터넷분양금지 캠페인

2. 대형 마트 소동물 판매 중단 캠페인

3. 개도살금지 캠페인

4. 길고양이 보호 캠페인

5. 채널A의 [트로이의 하얀묵시록] 재방송 중지 및 재발방지 요구, 동물학대 고발

6. SBS ‘TV동물농장’ , KBS ‘가족의 탄생’ 등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 협력(동물학대예방 및 올바른 반려동물문화캠페인)

7. 쎄씨, 오보이

  • 올바른 반려동물문화캠페인 협력.
  • 이효리, 바다, 원더걸스 유빈 등 많은 유명인들 참여

8. 입양 동물의 날 행사

9. 사설동물보호소 지원

  • 안성평강공주보호소, 삼송보호소, 내 사랑바둑이보호소, 한결보호소, 진해보호소, 애신의 집, 행복한 보금자리

10. 2011년 구조 및 보호, 입양 관리 동물

  • 2011년 한해에 172마리의 동물 중 82마리에게 새로운 가정을 맺어 주었으며 11마리는 안타깝게도 무지개다리를 건너갔습니다.

11. 동물보육원 건립 추진

  • 조성액 429,296,567원 (2011년 12월 23일 기준)

농장동물

연혁 이미지 2011년 04
연혁 이미지 2011년 05
연혁 이미지 2011년 06

1. 구제역 AI 조기해결촉구 범국민 비상대책위원회 추진 및 캠페인

  • 국내 최대의 동물 살처분 사태를 맞아 정부의 근본적인 해결방안 수립 촉구 기자회견, 시국 선언대회 및 촛불진혼제

2. 제주도 가스도축장 현장 탐방 및 개선점 제안

3. 1주일에 한번은 고기 안 먹는 날 캠페인 진행

4. 전국 주요 방사/평사 산란계 농장 및 관행 사육 농장 방문 조사

5. 동물복지 계란 소비 캠페인

실험동물

연혁 이미지 2011년 07
연혁 이미지 2011년 08
연혁 이미지 2011년 09

1. 국내 화장품회사 연구소를 대상으로 동물실험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 설문대상 15개 업체 중 12개 업체 회신 (9개 업체 : 완제품 동물실험 부인, 2개 업체 : 원료 동물실험 인정, 1개 업체 : 원료실험 여부 모름)

2. 소비자 대상으로 화장품 동물실험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

  • 응답자 2441명 중 95.1%가 화장품 동물실험 인증 필요성 동의, 97%가 비 동물실험 제품 선호 의사 밝힘

3. 진정한 아름다움 가꾸기

  • 영장류 실험관련 영화 시사회 참여 등

4. 영장류 실험의 문제점과 개선 제안 온라인 캠페인

5. 관세청 및 서울대학교동물병원의 마약탐지견 공혈견 및 해부실습 이용 금지 캠페인

오락 동물

연혁 이미지 2011년 10
연혁 이미지 2011년 11
연혁 이미지 2011년 12

1. 서울대공원 불법포획 돌고래쇼 중단 캠페인

2. 청계천 말마차 운행중단 캠페인

3. 소싸움활성화를 위한 ‘전통 소싸움경기에 관한 법’ 개정안 폐기 캠페인

야생동물

연혁 이미지 2011년 13
연혁 이미지 2011년 14
연혁 이미지 2011년 15

1. 하프물범 사이트 save seals 오픈

2. 하프물범 제품 불매 거리캠페인

3. 하프물범 캠페인 티셔츠 공모전

4. 하프물범유 오메가3 판매중지 캠페인

  • 종근당, 보령제약, 대웅제약, 일동제약, 동화제약, 일양약품, 상아제약, CJ뉴트라 등 8개 제약회사에서 수입 및 생산을 중단

5. 캐나다 영사관에 하프물범 사냥중지요청문 발송

6. 약재시장 웅담 판매 현황 조사

7. 한강 세빛둥둥섬 펜디모피쇼 반대 시위

8. 모피금지 캠페인

교육 및 정책 활동 참여

연혁 이미지 2011년 16
연혁 이미지 2011년 17
연혁 이미지 2011년 18

1. 동물보호법 개정 입법 활동

2. 농업연수원 동물복지과정

3. 반려동물진료비 부가가치세 부과 저지를 위한 입법활동 및 캠페인

4. 구제역 국회 정책토론회

5. 농장동물복지인증기준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과학원

6. 농장동물살처분기준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7. 농장동물복지정책토론회

  • 농림수산식품부

8. 반려동물진료비 부가가치세 국회공청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