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글쓰기
떠돌이 백구 중성화및 케어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주도 회원인데요. 몇가지 문의좀 드리려고 글씁니다.

지인께서 석달정도 누군가 도로가 숲속에 버린 새끼 백구 네마리에게 사료를 주고 계셨어요. 백방으로 입양을 알아보았지만 쉽지 않았고 그렇게 두마리는 로드킬로 잃었고 남은 두마리를 아직도 사료를 주고 계신데요. 아주 어렸울때에는 손을 타기도 했는데 두마리가 사고로 가고 이번 장마에 자주 보지 못하다 보니 그새 몸집도 커지고 야생성도 생겨서 인지 이제 전혀 손을 타지 않는다고 해요. 남은 두녀석 암컷이라 그나마도 또 그새 새끼라도 갖을까봐 전전 긍긍이세요.


그래서 이분은 현재 마음 상태는요. 입양은 포기를 하셨고요. (이미 어중간하게 커버리고 사회화도 되지 않아서 현실적으로 입양이 어려운것은 사실이에요.) 두녀석을  중성화 수술 시킨후 현재 환경에서나마 기본적인 예방약과 먹을것은 죽을때까지 책임지겠다는 마음이세요. 이분은 이 마을 토박이라서 이사갈 일은 없으실듯 하여 믿음은 갑니다.


저도 이런 경우는 처음 보아서 조언을 필요로 하시는데 도움을 못드리고 있습니다. 숲속에서 먹을 것만 주는 정도의  케어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을까요. 길고양이 tnr 이 아니라서, 전혀 감이 안옵니다. 개도 길고양이처럼 중성화후 방사 케어가 가능할런지요. 분명 경험하지 못한 우리가 모르는 어떤 문제가 있을듯 합니다. 


동자연 활동가님 뿐 아니라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으신 회원님들께서도 좋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손을지 않아서 당장 포획도 문제입다. ㅜㅜ







댓글

김재이 2020.08.07

김용환 활동가님. 상세한 답변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요청해주신 자료들 정리해서 오늘 안으로 메일 보내드리겠습니다! ( _ _ )


동물자유연대 2020.08.06

안녕하세요? 김재이 회원님. 동물자유연대 위기동물대응팀 김용환 활동가입니다. 문의해주신 내용과 관련하여 제주도에서 포획 도움을 줄 단체나 활동가를 백방으로 수소문하고자 합니다. 다만, 포획하려고 하는 유기견의 행동 습성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서 포획 성패가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자세한 상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자주 나타나는 장소나 밥자리의 주소, 사진, 영상, 밥을 챙겨주시는 분의 연락처 등의 자료가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rescuer@animals.or.kr로 전송해 주시거나 02-2292-6337로 전화를 주시면 자세한 안내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길 위에서 안타깝게 살아가는 생명들을 위해 손 내밀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재이 2020.08.02

대표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저 지인께서 계획하신 일이 올바른 지에 대한 조언이라도 듣고 싶었는데 이렇게 도움의 손길까지 주시니 너무 감사드려요! 쓰담 쓰담 사업은 더 힘드신 분들이 받으셔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지만.. 중성화 수술비용은 저도 조금이라도 보태어 드려서 그분 선에서 해결할수도 있을듯 합니다. 그래도 제 직접적인 일이 아니니 제선에서 그렇게 단정지어 괜찮다고 말씀드리면 안되니 감사히 말씀 전해드리겠습니다. 무엇보다도 그 포획 문제를 누군가 도와주실수 있는 분만이라도 소개라도 받을수 있다면 정말로 큰 시름 놓을수 있을듯 합니다 . 저도 야생견 포획은 전혀 경험한바가 없어서 그분께 어찌되었든 그래도 함께 해드리겠다고 말씀은 드렸지만 .. 누군가 전문적인 분께서 조금만 도와주신다면 정말로 큰 도움이 될듯 합니다! 정말로 거듭 감사드립니다!


조희경 2020.08.01

안녕하세요. 오랜만이세요 ^^ 주변에 그런 고마운 마음을 가진 분이 계시는 군요... 중성화수술 후 재방사는 주로 길고양이들에 해당하지만, 개도 어쩔 수 없는 경우엔 떠돌이 애들을 중성화수술을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냥 방치하면 계속 새끼를 낳아 또 들개가 되며 개체수가 늘어나면 민원으로 학살에 처할 위기에 놓이기 때문인데요, 포획 자체가 상당히 어려우니 기본적으로 중성화수술만이라도 꼭 해주었으면 좋겠네요... 제주에도 최근엔 활발한 활동을 하는 지역 단체들이 있는 듯해요.. 그 분들께 포획을 도움 받고 중성화수술을 저희 쓰담쓰담 사업을 활용해 부담을 조금이라도 함께 할 수도 있겠습니다. 길고양이 TNR은 자치단체 등에서시행하므로 저희가 지원을 안하지만 들개화되는 개들은 자치단체의 대책안도 없고 민원의 위험성이 더 커서 저희가 지원이 가능합니다. 상세한 것은 저희 활동가들이 더 보완해 설명드릴 수도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