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구조의 우선 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 이세나
- |
- 2021.04.30
- |
- 1
- |
- 35
- |
- 1
안녕하세요. 이세나 입니다.
작은 금액이지만 예전부터 항상 동자연 후원해왔고 응원했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구요
제가 여쭤보고 싶은 건 하루에도 수십통 학대제보,유기동물발견 관련해서 문의가 쇄도할텐데
어떤 기준으로 선택과 집중을 하시나요?
사람과 장소가 한정적이니까 무작정으로 구조하진 못 하실 거고 어떤 기준이 있으실텐데
학대의 정황이나 강도 위급의 정도 이 정도로 분류 될까요?
제가 말씀 드린 건 제 나름의 생각이지 동자연 기준이 아니니 동자연 기준에서 정확하게 답변 주시길 바라고
설마 그러진 않을 거라 생각하긴 하지만 미디어 노출이나 작은 소형견,묘(품종) 먼저 구조는 아니실까요?
하나 더 여쭤봅니다
2월 후원 및 지출내역 확인 했는데 '마당개복지증진활동-21,500' 여기에 해당하는 내용이 뭔가요?
댓글


동물자유연대 2021.04.30
안녕하세요 이세나 회원님,. 예상하신 바대로 하루에도 수없는 구조요청 전화가 밀려옵니다. 대부분 방치와 개농장, 길에 떠돌아다닌 개, 고양이 등이 많습니다. 이 동물들을 다 구조하는 것은 보호 공간의 한계로 인해 저희로서도 안타까운 마음을 가진 가운데 상황에 따른 선별적 구조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해서 말씀하셨듯이 보호자로부터 지속적이며 신체적 폭력이 가해지는 학대에 방치되었거나 사고 등으로 응급한 동물을 우선으로 구조를 합니다만, 원거리 지역의 경우 곧바로 달려갈 수 없기때문에 그런 경우 제보자님들께 함께 협업하기를 요청합니다. 미디어 노출은, 방송은 사회 인식을 높이는 강력한 캠페인의 기회일 수 있습니다. 조용한 활동은 해당 동물을 구할 수는 있겠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실상을 알리는 기회는 갖지 못합니다. 조용한 구조를 할 때도 있지만 미디어를 통해 사회에 우리 동물들이 처한 실상을 알리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위기의 동물들이 발생치 않도록 인식 변화를 위한 활동이 우리같은 단체에게 더욱 요구되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미디어 노출은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주시면 감사합니다. 그런데 우리 단체에서 구조한 대부분 동물들은 미디어 노출이 전혀 안된 채 구조된 아이들입니다. 단체에서 보호 중인 동물들을 보면 대부분 백구. 진돗개, 도사 혼혈, 코숏 고양이가 다수입니다. 번식장의 개들을 집단 구조할 때에 소형견들이 입소합니다. 번식장 구조는 우리 단체가 강아지공장 폐쇄를 목적으로 매년 1곳 이상씩 폐쇄시키며 구조해오는 아이들이고, 번식장 한 번 폐쇄시킬 때 마다, 그 동물들의 치료와 입양을 하는 데에 보통은 6개월이 걸리는데, 그 과정이 활동가들에겐 평소 보다 더 집중적인 노동력이 소요되는 기간입니다. 그렇게 힘겨운 시간을 가지면 그래도 그 아이들은 '가정'을 찾아갈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것이어서 힘겨운 시간일지라도 활동가들은 보람을 가지고 돌봄을 합니다. 구조 기준은 이렇게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당개복지증진활동은, 활동에 나오는 당진의 애니멀 호더의 개들이 사는 곳의 시설개선 활동을 하는 비용인데, 2월 이후로 본격적으로 해서 거기에 소요되는 비용은 3,4월에 집중돼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