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동물 제보

위기 상황에서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는
동물들을 제보해 주세요.

실견수업 애견미용학원의 실체

안녕하세요. 아주 길게 글을 썼는데 다 날아갔습니다.. 할 말 많은 이 심각한 문제를 최대한 요약해서 써볼게요..
저는 샵 목적이 아닌 기본적인 위생 미용 봉사 목적으로 '변석준 애견미용학원'을 실제로 다녔던 학생입니다.
'변석준'이라는 분은 애견미용에서 꽤나 유명해요. 부산에서는 애견 미용으로 가장 자리잡고 계신 분으로 알고 있어요. 네이버 기사도 많고, 학원에 원장으로 있는 부인도 유튜브에 나오고 합니다.

1. 위생 : 매일 수강생들의 위생 미용 수업으로 귀청소, 목욕 등 관리 받는 아이들인데도  귀 안은 대부분이 귀똥으로 엄청 더럽고, 얼굴 발 주변 털은 갈색으로 다 쪄들어있고, 치아 상태는 말도 못합니다. 하루 저한테 배정되었던 한 아이는 치석 상태가 너무 심각해서 선생님한테 여쭤보니 어쩔 수 없다고만 하셨어요. 학원 원장 부부 인스타를 보면 와이프는 명품 자랑에 남편은 오픈카 자랑에.. 아이들이 벌게 해준 돈인데 조금이나마 케어에 신경을 써주었으면 좋았을텐데 안타깝습니다. (사진 첨부)

2. 불법 사육 : 그 좁은 학원에  40마리 가량 되는 아이들을 좁은 철장에 4, 5마리씩 넣어서 직원들만 왔다갔다하는 방에 창고에 박스 쌓듯이 쌓여져 있습니다. 수강생에게 하루 배정되면 털이 잘려지고 다시 철장에 갇혀서 털을 길르고 (그동안 위생수업에 사용) 무한 릴레이겠죠. 심지어는 이동식 케이지에도 쌓아서 보관하던데 차라리 철장에 여럿이 쌓이는게 나을거에요.. (사진 첨부)

3. 어릴때부터 보고 다뤄진 환경이 그 좁은 학원이 전부인 아이들의 미용 매너는 최상입니다.. 아이들은 그게 당연한 일인줄 아니까 낯선 사람의 손길에도 얌전히 다뤄져요. 상처가 나있는 아이도 기본이고요. 중성화가 안 되어 있는 아이도 기본입니다. 철장에서 하염없이 뱅뱅 도는 아이, 철장에서 계속 엉덩이만 흔드는 아이 등 누가봐도 아이들에게 심리적으로도 문제가 많아요. 산책 또한 오래된 건물의 초록색 페인트칠 된 옥상이 전부에요. 그마저도 하루 수업했던 수강생이 기분 내켜야 집에 가기전에 잠시 데리고 올라가줘야 옥상에서 바람 맞으며 뛰어보는 겁니다. 지저분한 몰골에도 아이들은 무척 이쁘게 생겼습니다. 그래서 애견샵에서 분양이 안 되어진 아이들을 데려오는 게 아닐까 하고 의심도 했었어요. 부부가 5마리 정도 되는 슈나우저는 관리 잘하며 실제로 키우는 것 같던데 학원 아이들을 그저 돈벌이로 키우는 거 보면 그 아이들 또한 시험 등 자기 명성 올리기에 필요한 아이들이라 관리하고 키우는것이겠지 싶어요.

4. 전부 제가 실제로 본 것들입니다. 문젯거리인 것을 계속 인지하고 있었지만 괜히 나서서 적을 만들기 무서웠고, 개인이기에 모르는 것도 많고, 혼자 행동으로 옮길 용기가 없었어요. 하지만 알면서도 가만히 있는 게 시간이 지날수록 너무 죄책감이 들어서 도움을 요청해봅니다. 실제로 애견 미용에 대한 문젯거리는 한 번씩 기사가 나긴 했지만 누구 하나 제대로 된 사진과 영상 등 증거를 만들지 않았어요. 그래서 그 학원에 한달 위장 수업으로 다시 다니면서 증거를 만드는 방법도 어떨까 생각했었습니다.. '실견수업 애견미용학원의 실체' 충분히 이슈화 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슈화가 된다면 또 한 번 애견 복지에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될테고 많은 사람들이 동물 복지에 관심이 더 생길거에요. 여러모로 좋은 계기가 되어줄 이 사건을. 이 아이들을. 꼭 도와주셨으면 좋겠어요.. 이 제보를 입증할만한 첨부 사진들은 부부 인스타에서 찾아 캡처했습니다. 그나마 구해본 자료들일 뿐이라서 실제로는 더욱 심각합니다..! (사진 속 아이들은 목욕 직후의 모습입니다. 수업이 목욕으로 시작해요. 의외로 깨끗해보일 수 있으나 저게 주기적인 목욕과 목욕 후라는 사실을 알고 봐주세요. 녹색 별표는 수컷 중성화 안 한 입증과 철장, 케이지 보관 모습인데 학생들이게 노출되는 보관이 저 정도이면 직원들만 들어가는 방은 더 심각할 것도 알아주세요. )







댓글

동물자유연대 2020.07.02

동물관련 영업을 법으로 검토후 개선 방안에 대해 검토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이용되는 동물일 수록 동물복지에 더욱 신경써야 하는데,, 우리 법의 현실이 그것을 뒤따르지 못해서 많이 안타깝습니다,. 현재 법 적용이 어렵더라도 이런 부분 계속 신경쓰며 법을 보완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