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동물 제보

위기 상황에서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는
동물들을 제보해 주세요.

[기타/기타] 요청드립니다

1월1일부터 갑자기 apms에서 유기동물 검색이 제한되었습니다
현재 공고기간중인 동물이랑, 보호중인 동물만 검색되고
안락사, 자연사, 반환, 입양, 기증 등 상태가 변경되는 즉시 비공개처리되어
담당자만 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였습니다

농림부에서는 입양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변경했다는
말도 안되는 핑계를 대고 있으며
심지어 변경에 대한 어떤 의견수렴이나 공지 없이 1월1일부터 일방적으로 강행하였습니다

아직도 지방 소도시에서는 유기동물 보호소 입소 시 즉시 공고를 하지 않고
바쁘다는 이유 등을 대며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그 이상 몰아서 공고를 합니다.
1월 1일에 입소했음에도 1월 10일에 공고를 올리는 일이 벌어지고 있고
심지어 공고도 되기 전에 폐사하는 개체도 있습니다 
전엔 공고 올라오는 즉시 자연사 처리 되어 있으니 보고 항의를 하거나, 어떤 상황인지 확인을 하여
시정요구를 하거나 했는데 이제는 만약 위의 경우처럼
공고를 늦게 하거나 하여 공고하는 시점에 동물이 폐사해 있는경우, 상태를 자연사로 하여 올리면
공고에 검색조차 되지 않는것입니다

두수로 보조금을 주기 때문에, 이렇게 시스템이 변경된것을 충분히 악용가능합니다
살아있는 동물이 아닌 로드킬 등으로 이미 죽은 동물을 데려와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사진만 찍고 
공고올리는 동시에 폐사 등으로 설정해 올리면 그렇게 하고 있는것을 결국 아무도 모르는 것 아닌가요?

또한, 공고기간내에 안락사를 하고 바로 상태를 변경하면 그 역시 기록을 볼 수 없는데
지금은 공개라도 되어 있어서 보는 눈이 많으니 공고기간을 지키고 있지만, 보호중 외의 상태로 변경하는
순간 비공개 처리를 하면 공고기간 내 입양을 보내거나, 안락사를 해도 결국 그것을
일일히 정보공개청구 등을 하여 뒤늦게 확인하게 되는것 외에 감시의 눈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빈번한 길고양이 학대, 특정 지역에서 다쳐 신고된 고양이들이 지속 입소한 기록들
후에 혹여나 조사를 해보기 위해, 다시 보려고 해도 볼 수가 없습니다. 

입양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변경했다고 하는데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입양에 도움이 되도록 보호소의 사진 촬영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공하던가,
다른 방법으로 활성화를 해야 하는것이지 공고를 감추고 비공개로 하는것이 어떤 효과가 있습니까?

잃어버린 사람이 뒤늦게 공고를 확인해볼수도 있는것이고, 
학대가 발생했다면 중요한 단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기존처럼 전부 공개가 되어 있으면 어느 지역 보호소가 입양을 많이 보내고, 어느 지역 보호소 개체는
사실상 대부분 폐사하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그런것을 감추기 위해 변경공지는 커녕 의견수렴등의 과정도 거치지 않고 마치 독재국가처럼 
하루아침에 일방적으로 변경한 것 아닌지 매우 의심스럽습니다

국가시스템이 이렇게 하루아침에 손바닥처럼 뒤집어지는 경우는 처음 봅니다
숨기고, 감추고 가린다고 되는 일이 아닌데 농림부의 저의가 매우 의심스러운 상황입니다.

아직도 보호소의 부실운영, 동물학대, 묻지마입양 등이 심심치않게 터지고 있는데 단지 국민들의 
눈을 가리고 모른척 하겠다는 태도에 매우 분노하게 됩니다

1월 1일 변경을 원천 무효, 기존처럼 공고기간이 지나 보호중이 아닌 상태가 변경된 동물도
전부 검색이 가능하도록 동자연에서 이 일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의해 주시고, 입장을 밝혀주세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

동물자유연대 2023.01.11

안녕하세요. 제보해주신 내용에 대해 저희 단체도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며, 유기동물보호시스템 상 보호되고 있는 동물들의 사후 결과에 대해 비공개 하는 처리한 사유를 검역본부를 통해 확인할 예정입니다. 그에 따라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