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동자연에서는 왜 국민 청원을 직접 안 하는 걸까요?
- 김영은
- |
- 2017.12.08
- |
- 1
- |
- 178
- |
- 15
청와대 국민 청원은 우리 동물들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진정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제도입니다.
동물 학대 사건 나면.
사건 현장에 달려가서 성명서도 발표하시고
네이버 해피빈이나 카카오 같이 가치에 글 올려서 모금도 하고 하시면서...
왜 청와대 국민 청원에 제안을 안 하시는 걸까요?
여기 게시판에 보니까 개인 회원님이 청와대 청원 링크 올려주셨더라구요.
동자연에서 참여하시겠다고 댓글 다셨던데...
개인적으로 참여하고 서명할 게 아니라 동자연에서 직접 글 써서 청원하고 입법 제안하고
회원들과 네티즌들에게 동의해달라고 인터넷상에 알리고... (이런 건 저희가 해도 되지만요)
왜 이렇게 안 하시는지요..
1) 돈도 안 들고 2) 동자연 회원들이 인터넷에서 서명하고 홍보할 수 있고 3) 청원이 성공한다면 정말 실질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을 텐데...
동물을 위한 입법 제안도.. 저처럼 그냥 일반적인 상식으로 쓰는 것보다
동자연 간사님들처럼 지식이 있으신 분들이 쓰는 게 훨씬 설득력이 있고 실제 입법할 때도 도움이 될 거구요...
바쁘신 건 알지만, 솔직히 시간도 얼마 안 드는 일이잖아요.
그리고 시간이 아무리 많이 든다고 해도, 이게 얼마나 좋은 기회인가요. 또 들인 노력에 비해 효과가 엄청 큰 일이잖아요.
홍보나 공유는 회원들이 하면 되구요.
동자연에서 청원 올려주시길 부탁드려요.
댓글


동물자유연대 2017.12.08
김영은 회원님 우리 활동을 관심있게 지켜봐주시고 적극적으로 의견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우리 동물자유연대에서 동물보호 및 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과 입법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청와대 국민 청원이 정책활동을 위한 좋은 창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동물보호법 개정 등 입법활동의 경우 우리나라는 삼권분립 원칙에 따라 입법권한이 국회에 있기에 행정부인 청와대 국민 청원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때문에 동물자유연대는 지속적으로 국회에 동물보호법 강화를 요구 및 의견제출을 진행하고 있고, 실제 올해 3월 반려동물 생산업의 허가제 전환 등을 담은 동물보호법 강화를 이루어내기도 했습니다. 정부를 상대로 하는 정책활동 역시 작게는 지자체로부터, 정부부처, 청와대에 이르기까지 각 사안과 내용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접촉하고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은 청원, 민원제기, 집회 및 기자회견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의견 주신 청와대 국민청원과 관련해서도 그에 맞는 정책들을 발굴하고 필요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청와대 국민청원이 효율적인 수단을 될 수 있지만 우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만능키는 아님을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